일본 진출 K-뷰티 브랜드라면 꼭 알아 두어야 하는 7가지 SNS 플랫폼
뷰티 마케팅에서 빠질 수 없는 SNS 마케팅! 일본 시장도 한국 시장과 마찬가지로 SNS 마케팅이 중요하지만, 일본 시장에 대한 이해 없이 한국과 똑같은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실패하기 쉽습니다. 한국이 비주얼적인 요소와 바이럴이 중요하다면, 일본은 ‘생생한 후기’가 더 중요하기 때문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한국과 일본의 차이를 중심으로, 일본에 진출하는 뷰티 브랜드가 반드시 파악해야 할 7가지 SNS 플랫폼을 정리했습니다.
1. Instagram
2. X ( 구 트위터 )
3. YOUTUBE
4. TIKTOK
5. @cosme
6. LIPS
7. LINE
인스타그램
일본은 검색/발견 목적으로 인스타그램의 해시태그를 사용하는 빈도가 세계 평균의 3배라는 조사 결과가 있을 정도로 해시태그를 활용한 검색을 많이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정보 수집을 위한 검색을 많이 하는 만큼, 비주얼적인 요소에만 집중하기 보다는 실제 구매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품에 대해 디테일 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품명, 브랜드명 뿐만 아니라 자주 쓰는 해시태그를 적극적으로 활용 해야 합니다.
👉 같은 키워드 (모공케어)에 대해 한국에는 14만개의 게시물이 있지만, 일본엔 147만개의 게시물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 해시태그 검색에서 잘 노출 될 수 있도록 공식 계정 운영 뿐만 아니라, 인플루언서 시딩, 서포터즈, 일반 유저들의 업로드를 유도하는 SNS 리뷰 캠페인 등 통일성 있고 전략적인 운영 전략이 중요합니다.


X (구 트위터)
Japan Buzz의 리서치에 따르면 일본에서의 월간 활성 유저는 X (Twitter)가 6700만, Instagram이 6600만이라고 합니다. 그만큼 일본에서는 X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은 없어도 X 공식 계정은 있는 경우도 흔하게 있습니다. 리포스트 기능을 중심으로 한 트렌드의 실시간 확산력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1. 신상품 출시, 할인 행사 진행 등 알리고 싶은 소식이 있다면 리포스트 캠페인을 활용해보세요. 비교적 적은 예산으로 팔로워 획득과 콘텐츠 확산을 얻을 수 있어요.
2. 오거닉으로 좋은 리뷰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리포스트 기능을 활용해 소개하세요. 좋은 콘텐츠를 확산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적극적인 소통은 커뮤니티 육성 효과가 있습니다.


YOUTUBE
일본에서는 '꼼꼼한 해설형 콘텐츠'가 선호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 담당자가 출연하여 성분이나 개발 배경 등 한국 브랜드만의 뒷이야기를 꼼꼼히 전달하거나, 오피스의 모습을 보여주는 등 디테일 한 내용으로 신뢰를 얻어보세요.
1. How To 영상 및 사용법 등 최대한 상세한 설명 영상으로 장기적인 시청 효과 노려보세요.
2. 광고 영상만 단독으로 진행하기 보다는 ‘유튜버 콜라보 특별 세일’ 등을 통해 적극적인 구매 전환을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TIKTOK
일본의 화장품 시장에서 급속도로 존재감을 늘리고 있는 SNS 플랫폼을 꼽자면 TikTok입니다. 2021년, 닛케이트렌디와 닛케이크로스트랜드가 발표한 ‘2021년 히트상품 베스트 30’에서 「TikTok売れ(틱톡을 통해 물건이 팔리는 현상을 표현한 신조어)」라는 단어가 1위를 차지할 정도였는데요, 2025년 6월부터는 일본에서도 틱톡샵 기능을 오픈하며 커머스 측면의 기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1. 짧은 영상으로도 Before/After, 텍스쳐 및 발색, 성분 등이 알기 쉽도록 제품의 특성을 살린 기획이 중요합니다.
2.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궁금증을 해결하고, 정보를 제공함으로 구매 전환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cosme
일본 최대 규모의 화장품 리뷰 사이트로 신뢰도가 매우 높은 플랫폼입니다. 리뷰수나 평가는 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상품 정보 등록은 필수 입니다.
1. 신상품을 출시할 경우 반드시 상품 정보를 등록해서 리뷰가 쌓일 수 있도록 유도하세요.
2. 어느 정도 현지에서 브랜드 인지도가 쌓였다면 @cosme 스토어(온라인 및 오프라인) 입점을 검토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LIPS
10~20대를 중심으로 높은 지지를 얻고 있는 화장품 리뷰 어플로, 서비스 내에서 많은 팔로워를 가지고 있는 유저를 자체 ‘인플루언서’ 풀로 확보하고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1. 신상품을 출시할 경우 반드시 상품 정보를 등록해서 리뷰가 쌓일 수 있도록 유도하세요.
2. 필요하다면 LIPS 공식 인플루언서를 활용해서 신상품의 파급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LINE
한국에 카카오톡이 있다면 일본엔 라인이 있습니다. 월간 활성 유저 9500만을 자랑하는 압도적인 유저수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넓은 타겟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공식 계정 구독을 활용한 홍보, 쿠폰 제공 등으로 재구매를 유도 할 수 있어요.
1. 공식 계정을 개설해서 신상품 정보나 한정 쿠폰을 공유하세요.
2. EC사이트와 연동하여 재구매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한국과 비슷한 것 같지만 또 다른 일본의 SNS 플랫폼들을 살펴보았는데 어떠신가요? 주요 SNS를 모두 대응할 수 있다면 가장 좋겠지만, 언제나 마케팅 예산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브랜드의 상황과 예산에 맞는 적절한 마케팅 전략이 중요합니다.